최근 뉴스 헤드라인에서 위조상품 판매 적발과 기업 사칭 웹사이트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 구매로 전환하면서 이러한 피해는 더욱 확산되고 있는데요. 소비자들이 여러 플랫폼에서 가격을 비교하며 쇼핑할 때, 악성 셀러에게 노출되어 위조 상품 구매나 사칭 웹사이트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고도화된 악성 셀러들의 수법과 이에 대한 정부와 플랫폼의 대응 방안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이런 내용을 담았습니다.
1️⃣ [트렌드] 국내외 위조상품 시장 동향과 대응 방안
2️⃣ [트렌드] 교묘해진 사칭 범죄와 대응 방안
3️⃣ [아티클] 가짜 웹사이트: 브랜드를 사칭하는 웹사이트 제거하기
트렌드
국내외 위조상품 시장 동향과 대응 방안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확대로 많은 셀러들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로 인해 위조상품 판매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아마존, 특히 국내에서는 C커머스의 등장으로 오픈 마켓과 알리, 테무 등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브랜드 지식재산권(IP) 침해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여러 국가에서 비즈니스를 확장하면서 디자인 도용 및 상표권 위반 문제를 겪었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마존은 ‘위조 범죄 단속팀 (Amazon’s Counterfeit Crimes Unit)’을 설립하고, 판매자 신원 확인 및 심사 절차를 강화하며, 위조 문서 탐지와 비디오 검증 기술을 도입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특허청의 지원 사업과 각 플랫폼의 자체 검수 시스템, 소비자 신고 및 민간 기관의 협력이 위조상품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위조상품 문제는 단순한 불법 판매를 넘어 브랜드의 신뢰도와 소비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판매 채널에서 브랜드 IP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버튼을 클릭해 자세한 IP 침해 현황을 파악하고 브랜드 보호 전략을 세우세요.
사이버 보안 전문업체 AAG IT 서비스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달 140만 개의 피싱 사이트가 만들어 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피싱 사이트는 기업의 공식 사이트를 모방하여 소비자들에게 결제를 유도하는 가짜 사이트로, URL까지 실제와 유사하게 만들어집니다. 과거에는 금융기관을 주로 사칭했지만, 최근에는 전자기기, 패션, 반려동물 용품 등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을 사칭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브랜드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기업들은 방화벽 내 차단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지만, 사칭 범죄의 수법은 날로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에서는 전담 팀을 꾸려 신고 채널을 강화하며 방송통신위원회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들 또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