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이슈 | 미국 관세 인상 전, K브랜드 사재기 열풍…하지만 그 이면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번지며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 ‘사재기 현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보도에서 삼성, LG TV는 물론이고 K뷰티를 대표하는 선크림까지 다양한 한국 제품들이 사재기 품목 상위에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산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 기능, 산뜻한 사용감, 화장품과의 높은 궁합으로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의약품으로 분류해 제품 출시가 까다로운 만큼 한국 제품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인데요. 이 밖에도 김, 간장, 휴지 등 일상용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제품 품절 현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K브랜드의 인기와 수요 증가는 곧 무단판매와 비공식 셀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도 함께 내포하고 있습니다. 과거 사례를 통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미리 살펴보세요.
K뷰티 무단판매 사례 분석 | 실제로 어떤 일이 발생했을까요?
K뷰티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높아지면서, 미국 내에서는 브랜드 허가 없이 제품을 판매하는 사례가 적발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LA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한 일부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의 제품을 무단으로 판매해왔고, 해당 브랜드는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무단판매 되는 제품들의 정확한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에서는 브랜드 본사나 공식 대리점에서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대리점이 비공식 셀러에게 정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면서 이들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무단판매를 시작했을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닌데요. 국내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정 민간 업체가 군마트 이용 대상자를 통해 대량으로 제품을 구매한 뒤, 이를 오픈마켓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이였습니다. A업체는 2년간 약 4억 원 상당의 제품을 재판매했고, B업체는 두 달간 특정 제품 4,320개를 구매해 최대 40%의 마진을 남기며 판매했습니다.
이러한 비공식 유통 채널 확대는 브랜드의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뿐 아니라, 제품의 보관 환경과 정품 여부에 대한 소비자 신뢰까지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재판매 행위는 브랜드에 최대 21%의 매출 손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무단판매와 비공식 셀러 대응 전략은?
이제 무단판매와 비공식 셀러는 단순한 골칫거리를 넘어, 브랜드의 성장을 위협하는 주요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수요가 급증하는 지금 같은 시기에는 판매 채널 전반에 대한 정밀한 모니터링과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브랜드 입장에서는 AI 기반 탐지 시스템과 법적 조치를 포함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아모레퍼시픽과 올리브영은 재판매 목적의 대량 구매를 제한하는 강도 높은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실제로 공식 유통망 밖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제품들이 가품과 함께 유통될 경우 단순한 이미지 실추를 넘어 소비자 신뢰와 매출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인데요.
다양한 마켓플레이스 내에서 ‘정품’을 강조하는 비공식 판매 채널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제품 상세 페이지에는 ‘정품’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브랜드사와 정식 계약을 거치지 않은 제품이 혼재돼 있는 경우가 다수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비공식 셀러들이 계속해서 새롭게 등장하고 브랜드가 모든 판매처를 직접 검증하기 어렵다는 점인데요. 더불어 마켓플레이스 구조상 다양한 셀러의 존재가 매출과 직결되다 보니 플랫폼 차원에서 강력한 제재를 가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브랜드는 어떻게 소비자 신뢰를 지키고, 매출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지금 마크비전 블로그에서 실질적인 대응 전략 인사이트를 확인해보세요.